본문 바로가기
Daily Escape/Elenism

미국 연준이 우리나라 경제에 미치는 영향

by ♥Elen_Mir 2024. 7. 5.

[커뮤니티에 올린 글...]

 

 

 

출처 : https://youtu.be/TtPilvK124s?si=_sT96yarNnmiImKO

 

 

 

오늘 근로자의 날 대체휴무로 쉰 날이라 이 글을 올린 후에 공부하러 나가려고 했는데 시간이 지체될 거 같아 모든 일과를 마무리하고 본격적으로 올려보려고 합니다.

.

잡학다식(부러울 따름이죠 ㅋ)한 조승연 작가 유튜브도 자주 보는 편이기도 하고, 오늘 흥미로운 주제에 관해 방송을 해서 공유해보고 싶었습니다. 2021년 후반부터 현재까지 검색 키워드 중 상위에 위치해있는 곳이 아마 미국 연방준비위원회, 즉 연준일겁니다. 요새 제 전공 외 과목으로 행동 경제학도 듣고 있고 있어서 더 관심있게 보기도 했고요.

.

조승연 작가가 본인이 본 책 위주로 방송을 자주 하는지라 오늘도 제가 캡처한 저 도서의 작가 크리스토퍼 레너드와 인터뷰하는 내용을 담았습니다. 경제에 관심이 있으시거나 특히 투자를 조금이라도 하시는 분들에게 도움이 될 거 같아 내용 요약해서 올릴테니 자세한 내용은 방송 꼭 보시고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! 방송 내용 요약이라 경어체를 생략하는 부분에 대해 양해 부탁드립니다.

.

.

 

#1. 지난 10년 동안 주택 구매가 힘들어진 이유?

 

 

[미국 주택가격지수]

 

 

부동산 가격부터 보면 미국과 한국은 비슷한 문제를 겪고 있다.

1913년에 설립된 미국의 중앙은행인 연준은 하나의 슈퍼 파워를 가지고 있는데 마법처럼 '달러'를 만들어낼 수 있다. 과거의 연준은, 정확히 2010년 이전에는 이 마법을 보수적으로 사용했으나(새로운 달러 생산 -> 인플레이션 -> 중앙은행의 시중에 풀린 달러 회수), 2010년 이후 약 4년 만에(2008~2013년) 연준이 지난 100년동안 발행한 달러보다 3.5배나 더 많은 달러를 발행했다.

.

하지만 인플레이션의 또 다른 형태가 있는데 바로 부동산 같은 자산의 가격 상승이고, 이 부분은 제대로 논의되지 않았다. 이런 돈의 해일이 2010년부터 은행 시스템으로 밀려 들어오기 시작했고, 연준이 금리를 0%로 유지한다는 건 일부러 대출 부담을 줄여주는 것이어서 부동산과 같은 자산에 이 쓰나미가 밀려들게 되며 가격을 올리는 것이다. 이것이 자산 인플레이션이다. 월스트리트 사람들은 **'everything burble'**이라고 불렀고, 금융 전문가들이나 연준 모두 자산 가격을 올린다는 걸 알고 있었다. --> 이건 클리앙에서는 많이 이야기되었죠?

2010~2020년까지 미국 주식시장은 2배가 올랐고, 같은 시기에 임금은 제자리, 생산성도 변화가 없었다. 이런 환경에서 부동산 정책을 세운다고 한들 해변에 댐을 건설하는 것에 불과하며 근본 문제는 해결할 수 없다.

.

.

 

#2. 왜 양적 완화가 빈부 격차를 만들어내는가?

.

크리스토퍼 레너드는 이전의 다른 책을 집필하면서 어느 한 대기업을 통해 빈부격차의 원인을 연구하였다. 여러 정책이 현실에서 어떻게 작용했는지, 노조의 쇠퇴와 세금 정책, 교육 문제 등도 중요하지만 이 때는 한 가지 요인을 간과하고 있었다고 말한다. 바로 중앙은행인데 10년 동안 빈부 격차가 커지는데 가장 큰 역할을 했다.

.

연준은 12개 지점(보스턴, 뉴욕, 시카고, 세인트루이스, 필라델피아, 클리블랜드, 미니애폴리스, 캔자스시티, 리치몬드, 애틀랜타, 달라스, 샌프란시스코)으로 나뉘어져 있는데 이 중에서 가장 중요한 곳은 뉴욕 연방준비은행이다. 젊은 트레이더 한 명이 대형은행(JP모건 등)에 연락해서 국채를 얼마에 매입하겠다고 하면 그 은행이 연준에 이 국채를 보내면서 새로 발행된 화폐를 계좌로 받는 식으로 진행된다. 양적 완화라는 것은 이 과정을 계속 반복하는 것이다. 1차 양적완화 때 6,000억 달러를 찍어냈다.

'부의 효과(양적 완화가 각종 자산에 흘러들어가는 현상)' 가 노동 시장에는 별 영향을 주지 않았다.

 

 

[상위 1%가 미국 전체 자산의 40% 소유]
[하위 50%가 미국 전체 자산의 5% 소유]

 

.

부자를 더 급격하게 부자로 만들고, 미국 하위 50%에게 돌아가는 혜택은 매우 더디게 흘러간다. 연준에서도 이 부분을 논의한 적은 있다. 이렇게 하면 사모펀드, 헤지펀드, 초대형은행에 너무 많은 부를 주게 된다고...

하지만 당시 연준 의장이었던 벤 버냉키(Ben Bernanke, 2006.02~2014.01)가 실제로 이 정책(양적 완화)을 입안했고, 다른 방법이 없으니 이 방법이라도 시도해보자고 주장했다. 정책이 효과가 없는 것 같다면서 2배로 더 늘리기도 한다. 즉, 이 정책이 소득 불평등을 키운다는 건 가설이 아니라 역학적인 사실이고 연준도 이를 알고 있었으나, 대안이 없다는 이유로 밀고 나갔다.

.

이 정책에서 특별 허가를 가진 은행은 24개 뿐이고, 이들을 프라이머리 딜러(JP모건, 골드만삭스, 모건 스탠리 등)라고 부른다. 개인이 무언가를 구매하면 계좌에서 그 구매처로 돈이 옮겨가지만 은행의 계좌에서 생성되는 돈은 결국 자산 시장으로 흘러 들어가게 되어 있다.

.

제 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이 초강대국이 되면서 달러가 기축통화가 되었는데 또 한가지 가장 강력한 무기가 미국 채권이다. 미국채가 세계 기축 채권이기 때문에 위기가 오면 사람들은 안전자산인 미국채로 몰리는 것이다.

.

.

 

#3. 연준이 돈을 많이 찍을 수 있는 이유?

.

예전 금본위제 시절에는 봄에 대출이 많이 필요한 농민들이 이 대출을 제대로 받을 수 없어서 연방준비위원회가 출범했고, 처음부터 24개의 프라이머리 딜러를 통해 화폐를 발행하기로 협약되어 있다. 결국 달러가 기축 통화이기 때문에 지금과 같은 실험을 계속하고 있는 것인데 이 한계선이 어딘지 알 수 없지만 이걸 마치 알아내려고 하는 것처럼 위험한 도박을 하고 있다.

.

또한 월스트리트에 너무 많이 주력하면서 사모펀드 등이 성행하게 된다.

미국에 볼베어링을 제조하는 '렉스노드'라는 회사가 있다. 약 100년 정도 된 회사인데 사모펀드(제롬 파월 의장이 재직했던 곳)가 인수하였다. 사모펀드는 빚으로 회사를 인수해서 그 회사의 수익으로 부채를 갚은 다음, 또 다시 그 회사를 매각해서 수익을 얻는 방식으로 진행된다. 이 과정에서 노동자들이 정리해고를 당하면서 이직하는 동안 임금이 삭감될 수도 있고, 약간 오를 수도 있지만 크레디트 스위스 같은 회사는 큰 돈을 번다.

또한 제조업체는 저 과정에서 많은 빚을 지게 되기도 하고, 설령 그렇지 않다해도 투자를 하지 않는다. 어차피 팔 회사기 때문에...... -> 이런 식으로 금융업에 너무 많이 치중하면서 저자는 미국 제조업이 쇠퇴했다고 말하고 있네요. 가격 경쟁력 때문에 중국 같은 아시아에 공장을 옮기는 이유만 있는 게 아니고, 이미 약해진 미국의 제조업에 이 금융업의 약탈적인 행위가 제조업을 크게 쇠퇴시켰다고 말하고 있습니다.

.

.

 

#4. 미국 경제 좋은 것 아닌가?

.

 

2021년 여름부터 인플레이션이 가파르게 진행되어 연준은 6개월 동안 0%에서 5%로 금리를 올렸다. 이는 경제에 큰 충격을 주었고, 동시에 연준은 양적 긴축을 시작한다.

 

 

연준의 대차대조표를 확인하면 9조에서 8조, 그리고 7조 8,000억 달러까지 줄였다. 그래도 2008년의 9천억 달러에 비하면 여전히 큰 돈이다. 연준 역사상 전레가 없는 수준이다.

가장 무서운 시나리오는 레이 달리오가 말한 것처럼 부채 기반의 미국 경제 시스템이 심판을 받는 것이다. 미국채의 이자가 감당할 수 없을만큼 올라가서 이자를 갚지 못하게 되는 상황이 오고 달러의 가치가 크게 떨어지면 미국인들의 생활 수준에 엄청난 타격이 온다. 정치도 불안정한 상황인데 다른 나라가 미국채를 안 사고 금리가 7~8%로 상승하면서 통제할 수 없는 상황 자체를 권력자들은 전혀 고려하지 않는다. 연준의 대차대조표가 얼마가 되든 상관하지 않고, 화폐를 더 발행하면서 문제가 없다고 생각한다.

이런 '심판의 날' 시나리오는 엄청나게 가혹할 것이다. 경제 성장 둔화에 그치지 않고, 미국 경제가 무너진다. 그러면서 시스템 전체에 큰 충격을 줄 것이다.

.

연준은 모두에게 영향을 준다. 쓰나미를 일으키는 원인이고...

"시장의 기복이 일종의 날씨라면, 연준과 중앙은행은 기후를 결정한다"

 

--------------

 

우리나라 내부에도 제대로 관리하지 못한 여러가지 원인들이 많지만 금융위기 이후에 벌어진 상황들은 미국과 별개로 생각할 수 없으며 다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.

이 분도 미국의 미래를 걱정하는 마음에 저 책을 쓰고 이런 방송까지 한 것일테고, 이 내용을 통해 우리도 분명 대비할 수 있는 건 대비해야겠죠. 이 내용대로라면 우리가 할 수 있는 건 많지는 않겠지만요.

.

어쨌든 본의 아니게 책 소개도 함께하게 되었네요. 아무래도 방학하면 저 책부터 읽어봐야겠습니다. 폴 볼커 자서전도 저번 방학 때 읽어보긴 했는데 이 책도 연준에 대해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는 내용이 많을 거 같군요. 아무튼 긴 글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!! :)

댓글